빌더패턴을 살펴 보았을때까지는 싱글톤 패턴에 대해서만 자세히 알고 다른 디자인패턴에 대해서는 이름만 알고있었습니다...
오늘은 builder()패턴에 대해서 핵심 위주로 적어볼려고합니다..
스프링을 사용할때 @builder를하면 . . . 하면서 맴버 속성값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.
여기서 ? 그럼 생성자를 하는거랑 무슨차이지? 제일 봤을때 차이는 없습니다 그러나 어떤 클래스에서 맴버 변수가 굉장히 많다고 생각을합니다 class A에 맴버 변수가 10개이상이 있다고 할때 setter로 다 적용하기에는 너무 귀찮을 수 있습니다
그럴때는 간단하게 빌더패턴을 적용하면 . .을 이용해서 속성에 바로 접근해서 늘릴 수 있습니다.
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..
public class A {
private Integer id;
private String name;
..
..
..
..
..
..
.. 이후 엄청 많은 속성 값들...
이러한 것들을 setter로 다 넣기에힘들기에 빌더패턴을 넣으면
public class A {
public void builder() {
Raise raise = Raise.builder().id(2).name('kcj3054')... 이렇게 이어갈 수 있습니다
'디자인패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옵저버 패턴 (0) | 2023.09.24 |
---|---|
Adapter패턴. (0) | 2022.05.23 |
builder패턴(c++) (0) | 2022.05.13 |
composite패턴 (0) | 2022.05.12 |